본문 바로가기

일하고 - HR/HR39

주 69시간 근무에 숨겨진 사실? 정말 더 많이 일하게 될까? 오늘은 최근 '근로시간 개혁'으로 떠들썩한 주제인 주 최대 69시간 근무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주 52시간제 도입 후 많이 달라진 우리나라 산업계의 '일하는 문화'가 다시 한번 변곡점을 맞이하게 될지, 이번 권고안이 정말 근로자들을 더 많이 일하게 하는 내용일지에 대해 한번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지난 2018년부터 시행되었던 주 52시간제부터 간단히 짚어볼까요? 일주일은 7일이다. 라는 아주 단순해 보이는 이 문장이 가지는 영향력은 매우 컸습니다. 일주일에 연장근로를 주말/평일 무관하게 최대 12시간까지만 할 수 있다. 따라서, 법정 근로시간인 40시간에 + 연장근로 12시간 = 최대 52시간까지만 근무할 수 있다는 것이었지요. 이러한 주 52시간제는 갑자기 근로 시간이 줄어들.. 2022. 12. 18.
2023년 최저임금은 얼마일까? 2022년이 벌써 마무리되어 가네요! 연말 모두 건강하게 따스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해가 바뀌면서 매번 바뀌는 것이 있지요? 사실 매번 바뀌는 것은 아니겠지만요~ 바로 최저임금입니다. 2023년 최저임금은 얼마일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올해 최저임금은 얼마였는지 기억 하시나요? 2022년은 9,160원이었습니다. 2023년은 올해 대비 5% 인상된 9,620원입니다. 약 500원이 인상되었네요.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나 오를까요? 월 209시간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9,620원*209H = 2,010,580원 최저임금 기준으로 월급이 200만원을 최초로 넘어섭니다. 이제는 슬슬 새로운 숫자에 익숙해져야 하는 시기이네요 2023년이라는 말도, 9620원이라는 최저임금도 이제는 슬슬 눈에 익혀두.. 2022. 12. 13.
[고용노동부]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기본적 노동법 안내 고용노동부에서 알찬 자료를 정말 많이 발간하고 있어요. 특히 노동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오늘은 2022년이 다 가기전에, 2022년도로 발간된 좋은 자료 하나 발견해서 공유합니다. 바로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7가지 노른자 노동법인데요, 근로계약, 근로시간, 임금, 최저임금, 모성보호, 해고, 퇴직급여로 가장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영역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이지만 정말 쉽고 친절하게 안내되어 있는 자료입니다. 파일 제목은 '소규모 사업장을 위한'으로 되어 있지만, HR을 처음 하게 되시는 분들이 처음에 노무적인 기본 상식을 익히기에도 정말 좋은 자료일것 같아요. 파일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로드 가능한 게시글 링크를 첨부합니다. '22년도 기초노동법.. 2022. 12. 12.
채용 시 필수! 채용서류 반환 고지 (+청구서 양식)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 11조, 같은 법 시행령 제2조 및 제4조에 따라 지원자들은 제출한 채용서류에 대한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양식은 게시글 하단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회사명을 바꾸어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야기하는 '채용서류'는 무엇일까요! 대부분의 회사에서 받고있는 온라인 지원서도 채용서류에 해당할까요? 채용서류 반환청구서, 그리고 반환 청구와 관련하여 회사가 채용 시 반드시 고지해야 하는 내용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채용서류 반환 청구에 대한 고지를 하게 하는 취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원자들이 여러차례 지원을 하며, 매번 서류를 준비하는데에 드는 비용으로 인한 부담을 줄여주기 위함입니다. 포트폴리오와 같이 분량이 많이 들어가는 서류들의 경우에는 실제로도 준비에.. 2022. 12. 11.